CDN(Content Delivery Network,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) 웹 캐시 서버들을 전 세계에 분산 배치하고 원본 서버의 콘텐츠들을 웹 캐시 서버에서 캐시해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함으로써 사용자 기기나 브라우저가 웹 콘텐츠를 보다 빠르게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CDN 이점 성능 및 안정성 보장 CDN 서비스 업체들은 일반 호스팅 업체에 비해 많은 수의 PoP(Point of Presence, 상호 접속 위치, 데이터를 캐시함)를 보유하고 있어 인터넷 병목 구간을 피할 수 있어 더 빠르게 콘텐츠 전송이 가능하며 몇 개의 PoP에 장애가 나도 다른 PoP에서 서비스 할 수 있기때문에 끊김 없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. 아키텍처 단순화 CDN을 사용하면 아키텍처를 특별히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..
출처: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초용어시스템: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인터페이스: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근 방법전송매체: 시스템끼리 정해진 인터페이스를 연동해 데이터를 전달할 때 필요한 물리적인 전송 수단(ex: 동축 케이블, 무선 신호)프로토콜: 상호 연동되는 시스템이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 따르는 표준화된 특정 규칙네트워크: 통신용 매체를 공유하는 여러 시스템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모음인터넷: 전 세계 모든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 네트워크표준화: 서로 다른 시스템을 상호 연동해 동작시킬 때 필요한 연동 형식의 통일 시스템 기초용어노드: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을 가장 일반화한..